什麼是韻尾?
子音在母音前發音的情況和在母音後發音的情況2種。在母音後,即在音節末尾發音的子音叫做韻尾。單韻尾是由一個子音形成的韻尾,如:각, 난, 강
雙韻尾是指由兩個子音形成的韻尾,如:값, 닭
在韓語中,除了ㄸ,ㅃ,ㅉ三個子音外,其他子音都可以當韻尾,但在實際發音中只有7個代表音。
代表音
|
韻尾
|
---|---|
ㄱ
|
ㄱ ㅋ ㄲ ㄳ ㄺ
|
ㄴ
|
ㄴ ㄵ ㄶ
|
ㄷ
|
ㄷ ㅅ ㅈ ㅊ ㅌ ㅎ ㅆ
|
ㄹ
|
ㄹ ㄺ ㄼ ㄽ ㄾ ㅀ
|
ㅁ
|
ㅁ ㄻ
|
ㅂ
|
ㅂ ㅍ ㄼ ㅄ ㄿ
|
ㅇ
|
ㅇ
|
雙韻尾單獨發音,或者在子音前時
ㄳ -[ㄱ]
ㄵ - [ㄴ]
ㄼ ㄽ ㄾ-[ㄹ]
ㅄ-[ㅂ]
一般來說發左半邊的發音
讀一讀
넋[넉]魂 앉다[안따]坐넓다[널따]寬 핥다[할따]舔
값[갑]價格 몫[목]份兒
얹다[언따]放 얇다[얄따] 薄
없다[업따]沒有 여덟[여덜]八
特殊變化 밟다[밥따]踩
雙韻尾單獨發音,或者在子音前時
ㄺ-[ㄱ]
ㄻ-[ㅁ]
ㄿ-[ㅂ]
一般來說發雙韻尾右半邊的音。
讀一讀
닭[닥]雞 흙[흑]土 맑다[막따]清늙다[늑따]老
삶[삼:]生活 젊다[점:따]年輕
닮다[담:따]像 읊다[읍따]吟唱
特殊變化:
在用言(動詞,形容詞)中
ㄺ+ㄱ-[ㄹ]+[ㄲ]
맑게[말게] 맑고[말꼬] 늙게[늘께]
1 韻尾ㅎ ㄶ ㅀ+ㄱ, ㄷ, ㅈ - 'ㅎ' 脫落+[ㅋ, ㅌ, ㅊ]
놓고[노코] 좋던[조턴] 쌓지[싸치]많고[만코] 않던[안턴]
닳지[달치]
2 ㅎ ㄶ ㅀ + ㅅ-'ㅎ'脫落+[ㅆ]
닿소[다쏘] 많소[만쏘]싫소[실쏘]
3 ㅎ+ㄴ-[ㄴ]+[ㄴ]
놓는[논는] 쌓네[싼네]4 ㅎ ㄶ ㅀ+모음-'ㅎ' 脫落
낳은[나은] 놓아[노아]쌓이다[싸이다]
많아[마:나] 싫어도[시러도]
讀一讀
1 날씨가 정말 좋아요.2 싱거우면 소금 더 넣어.
3 요즘 일이 많아서 바빠요.
4 지갑을 잃어버렸어요.
5 먹기 싫으면 안 먹어도 돼요.
複習:
1 ㅎ ㄶ ㅀ+ㄱ, ㄷ, ㅈ → 'ㅎ' 脫落 [ㅋ, ㅌ, ㅊ]놓고[노코] 쌓지[싸치]
2 ㅎ ㄶ ㅀ + ㅅ→'ㅎ'脫落+[ㅆ]
닿소[다쏘] 많소[만쏘]
3 ㅎ+ㄴ→[ㄴ]+[ㄴ] 놓는[논는] 쌓네[싼네]
4 ㅎ ㄶ ㅀ+모음→'ㅎ' 脫落
낳은[나은] 쌓이다[싸이다]
連音現象
如果前面的字有子音為韻尾(單韻尾或雙韻尾),而後面的字是以「ㅇ」為開頭的母音字時。因為在母音前面的「ㅇ」不發音,所以,前面的韻尾會移到後面子音「ㅇ」的位置,和後面的母音連在一起發音,所以稱為「連音」。한국어[한구거] 밤에[바메]
많아요→[마나요]
唯獨ㅎ 沒有連音,ㅎ脫落 좋은[조은]
單韻尾的連音
1 받침 ㅂ ㄷ ㅈ ㄱ 의 연음
讀一讀:
수업에 입어요 믿으세요 받아요기억이 부작용 책이 늦으면
1 집이 어디예요?
2 전화 받으세요.
3 기억이 안 나요.
4 잊어버리면 안 돼요.
2 받침 ㅍ ㅌ ㅊ ㅋ 의 연음
讀一讀:
갚아요 높아요 무릎을같아요 끝에 부엌이
빛을 붙어요 꽃은
1 책을 덮으세요.
2 껌 좀 뱉으세요.
3 형제가 몇이에요?
3 받침 ㅅ ㅆ ㄲ 의 연음
讀一讀:
깨끗이 벗어요 씻으세요갔으니까 만났으면 있었어요
깎아요 밖은 닦아요
1 머리 좀 빗어요.
2 뭐 샀어요?
3 좀 깎아 주세요.
複習:
單韻尾的連音수업에 입어요 믿으세요 받아요
기억이 부작용 책이
같아요 높아요 무릎을
같아요 깨끗이 벗어요 씻으세요
雙韻尾的連音
雙韻尾+母音開頭的字時,雙韻尾左邊的位置不動,後邊的韻尾移動到後面的母音位置上。此時,ㄳ, ㅄ中的 'ㅅ'要發成緊音(重音)
1 ㄳ: 몫이[목씨] 삯이[식씨]
2 ㅄ: 값[갑씨] 없어요[업써요]
3 ㄵ: 앉아요 없으세요
4 ㄺ: 긁어요 늙었어요 닭을 읽으세요
5 ㄻ: 굶어요 삶아요 젊은
6 ㄼ: 넓어요 얇아요 여덟에서 짧아요
7 ㄾ: 핥아 먹어요 훑어봐요
8 ㄿ: 읊어요
分辨下面句子的連音
1 여기 앉아도 돼요?
2 다시 한 번 읽으세요.
3 고기를 너무 오래 삶으면 안 돼요.
4 짧은 머리가 어울려요.
5 아이가 아이스크림을 핥아 먹어요.
6 값이 너무 비싸요.
韻尾在ㅏ,ㅓ,ㅗ,ㅜ,ㅟ之前,要先變成代表音來發音。
1 兩個單詞
잎 위→[입]+위→[이뷔]
못 오면→[몯]+오면→[모도면]
부엌 안→[부억]+안→[부어간]
2 一個單詞(合成詞)
맛없어요→[마덥써요]0 [마섭써요]x
첫인상→[처딘상]0 [처신상]x
讀一讀
1 옆 얼굴
2 겉옷 맛없어 못 앉아요 못 왔어요
3 부엌 안
4 사람은 첫인상이 중요해요.
5 못 오면 전화해.
6 첫 월급 타면 선물 사 줄게.
7 오래간만이에요. 잘 지냈어요?
8 그 동안 부산에 있었어요
複習:
雙韻尾的連音
1 여기 앉아도 돼요?
2 다시 한 번 읽으세요.
3 고기를 너무 오래 삶으면 안 돼요.
4 짧은 머리가 어울려요.
5 아이가 아이스크림을 핥아 먹어요.
6 값이 너무 비싸요.
7 사람은 첫인상이 중요해요.
8 못 오면 전화해.
1 "ㅂ"的不規則音變
詞幹以韻尾ㅂ結尾的大部分形容詞及個別動詞,後面連接母音時,ㅂ變為우或오。規則:잡다+아→잡아 입다+어→입어
規則詞有:잡다, 입다, 씹다, 좁다 等
不規則:춥다+어→추워 돕다+아→도와
不規則詞有:춥다、덥다、아름답다、무겁다、어렵다、가깝다、맵다、가볍다、쉽다、차갑다、돕다、뜨겁다等
讀一讀
1)날씨가 추워요.2)한국의 여름은 아주 더워요.
3)한국말은 어려워요.
4)설악산이 가까워요.
5)김치가 매워요.
6)옷이 참 고와요.
2 "ㄷ"的不規則音變
以"ㄷ"結尾的部分動詞,在母音前將"ㄷ"變成"ㄹ"。規則 얻다+어→얻어 닫다+어→닫아
規則詞有:얻다, 닫다, 받다 등
不規則 듣다+어→들어 걷다+으면→걸으면
不規則詞有:듣다, 묻다, 걷다
讀一讀
1) 잘 들으세요.2) 하루에 30분 이상 걸어야 합니다.
3) 선생님께 물어 보세요.
3 "ㅅ"不規則音變
部分用言詞幹韻尾"ㅅ"用在母音前面時,"ㅅ"脫落。規則 벗다+어→벗어 씻다+어→씻어
規則詞有:벗다, 씻다, 웃다 등등
不規則 낫다+아→나아 붓다+어→부어
不規則詞有:낫다, 긋다, 붓다, 짓다, 잇다 등
讀一讀
1)집을 다 지으면 곧 이사할 겁니다.2) 커피에 설탕을 넣고 잘 저어 주세요.
3) 나한테는 파마 머리 보다는 커트 머리가 더 나은 것 같아요.
4) 지금 곧 밥을 지어 줄게요.
ㅂ, ㄷ, ㅅ 音變練習
1 저는 모르는 것이 있을 때 보통 마이클 씨에게___________.(묻다)2 저녁식사 후에 1시간 동안 공원을 ______________.(걷다)
3 만나서 ____________(반갑다)
4 김치찌개가 비빔밥보다 더 _________(맵다)
5 노래를 너무 많이 해서 목이 _______.(붓다)
6 감기가 _____________수영하러 갈까요?(낫다)
複習:
1 "ㅂ"的不規則音變: 춥다、덥다、아름답다、무겁다、어렵다、가깝다、맵다
2 "ㄷ"的不規則音變: 듣다, 묻다, 걷다
3 "ㅅ"不規則音變: 낫다, 긋다, 붓다, 짓다, 잇다
1 "르"不規則音變
詞幹末音節是"르"的大部分動詞、形容詞與母音相連時,"르"發生音變,"르"變成"ㄹ ㄹ"規則 따르다+아→따라 들르다+어→들려
規則的詞有:따르다, 들르다, 치르다 등
不規則 빠르다+아→빨라 다르다+아→달라
不規則的詞有: 모르다, 고르다, 서두르다, 다르다, 빠르다, 기르다 등등
讀一讀
1 저는 노래방에 가면 한국 노래를 많이 불러요.2 저는 아직 한국의 문화에 대해서 잘 몰라요.
3 출퇴근 시간에는 택시보다 지하철이 더 빨라요.
2 'ㄹ' 脫落現象
"ㄹ"不規則音變:詞幹以"ㄹ"結尾的部分用言後,與"ㄴ ㅂ ㅅ"相接時韻尾"ㄹ"脫落。살다:
살+ㅂ니다→삽니다
+십나다→사십니다
+는 →사는(사람)
這類詞彙還有:알다、길다、만들다、멀다、달다、벌다、들다、팔다、졸다等。
讀一讀
1 어디에 사세요?2 저는 긴 머리가 잘 안 어울려요.
3 우리 사장님은 요즘 노래를 많이 아십니다.
4 이번 주말에 집에서 케이크를 만들 거예요.
3 '으'脫落現象
"ㅡ"音的脫落:詞幹以"ㅡ"結尾的大部分用言,後面接元音"아/어"時,"ㅡ"一般都脫落。當"ㅡ"前面的音節是"ㅏ"或"ㅗ"時,變為"아"
當"ㅡ"的前一個音節是"ㅏ","ㅗ"以外的母音或其前面沒有其他音節時,變為"어"。
아프다→아파요,아파서,아팠어요
기쁘다→기뻐요,기뻐서,기뻤어요
쓰다→써요,써서,썼어요
在下例單詞中,"ㅡ"通常脫落:아프다,(배가)고프다,바쁘다,나쁘다,예쁘다,기쁘다,슬프다,크다,쓰다
讀一讀
1)다리가 아파서 안 갔습나다.2)지난 주까지 바빴습니다.
3)배가 고파서 밥을 먹으러 식당에 갔다왔습나다.
4)오래간만에 친구들을 만나서 무척 기뻤습니다.
5)친구에게 편지를 썼습니다.
르 ㄹ 으 音變綜合練習
1 철수 씨는 요즘 좀 _______.(바쁘다)2 이 모자는 저한테 너무 ______(크다)
3 저는 한 달에 한 번 머리를 _______(자르다)
4 저와 동생은 얼굴은 닮았지만 성격은 많이____________(다르다)
5 우리 집은 학교에서 ______(멀다)
6 우리 할머니는 미국에________(살다)
複習:
1 "르"不規則音變 빠르다+아→빨라 다르다+아→달라
2 'ㄹ' 脫落現象 살다:살+ㅂ니다→삽니다 +십나다→사십니다 +는 →사는(사람)
3 '으'脫落現象
아프다→아파요,아파서,아팠어요
기쁘다→기뻐요,기뻐서,기뻤어요 구개음화:腭化現象
구개음(腭音):舌尖頂在上顎發出的音,韓語的腭音有ㅈ', 'ㅊ', 'ㅉ' 等。
腭化現象:韻尾ㄷ,ㅌ在이,여前時,發音變為[ㅈ,ㅊ]
맏이[마지] 같이[가치] 끝이[끄치]
讀一讀
곧이 굳이 맏이 같이
1 해돋이를 보러 동해에 갔어요.
2 시간이 안 되면 굳이 갈 필요 없어.
3 눈 밑이 까매서 피곤해 보여요.
4 잠깐 눈 좀 붙여요.
韻尾ㄷ在히,혀前面時,與ㅎ合併發[ㅊ]音
ㄷ+히/혀→[ㅊ]
묻히고[무치고]
닫혀요[다쳐요] 갇혀서 갇힌 닫혀서
1 은행 문이 닫혀서 그냥 왔어요.
2 오늘 걷힌 돈이 모두 얼마야?
3 엘리베이터가 고장 나서 갇혀 있었어요.
注意:韻尾ㄷ,ㅌ在이,여前時,發音 變為[ㅈ,ㅊ]
1 일이 끝이 없어요. 내일까지 끝을 내야하는데.
2 제 밑으로 동생이 둘 있어요. 제일 밑이남동생이에요.
3 이름이 같은 친구 둘이 늘 같이 다녀요.
4 벽에 잘 붙어 있도록 단단히 붙여 주세요.
5 미닫이문은 옆으로 밀어서 열고 닫아요.
複習:
구개음화:腭化現象
腭化現象:韻尾ㄷ,ㅌ在이,여前時,發音變
為[ㅈ,ㅊ]
맏이 같이 끝이
갇혀서 갇힌 닫혀서
鼻音:空氣通過鼻腔發出的聲音。韓語的鼻音有ㅁ, ㄴ, ㅇ 三個。
鼻音化現象:韻尾ㅂ, ㄷ, ㄱ +ㄴ, ㅁ→ [ㅁ, ㄴ, ㅇ]
1 ㅂ+ㄴ/ㅁ→[ㅁ]
입는[임는] 십만[심만]2 ㄼ, ㄿ, ㅄ, ㅍ→[ㅂ]+ㄴ/ㅁ→[ㅁ]
앞문: 앞[압]+문→[암문]밟는: 밟[밥]+는→[밤는]
없는: 없[업]+는→[엄는]
讀一讀
반갑네요 월급날 앞니 십만
연습문제 밟는 없는 값만
1 내일 갑니다.
2 답만 쓰세요.
3 앞문이 잠겼어요.
3 ㄷ+ㄴ/ㅁ→[ㄴ]
듣는[든는] 믿는[민는]4 ㅅ, ㅆ, ㅈ, ㅊ, ㅌ, ㅎ →[ㄷ]+ㄴ/ㅁ→[ㄴ]
거짓말[거진말]맞는다[만는다]
꽃만[꼰만]
讀一讀
듣는 잊는 찾는지 윷놀이
옛날 첫눈 갔는데 맏며느리
1 계속 콧물이 나와요.
2 회의가 언제 끝나요?
3 '낱말'은 '단어'라는 뜻이지요?
5 ㄱ+ㄴ/ㅁ→[ㅇ]
작년[장년] 국물[궁물]6 ㄲ, ㄳ, ㄺ, ㅋ→[ㄱ]+ㄴ/ㅁ→[ㅇ]
깎는[깡는] 읽는[잉는]讀一讀
국내 생각났어요 작년
국물 백만 목말라요
1 요즘 사람들이 이 책을 많이 읽는데.
2 작년에 한국에 왔어요.
3 국물 좀 더 주세요.
4 목마른데 물 좀 주세요.
鼻音化1 綜合練習
1 가: 더 필요한 거 있으세요?나: 네. 국물 조금만 더 주세요.
2 가: 더 샀나요?
나: 이제 꽃만 사면 돼요.
3 가: 십만 원이면 되죠? 나: 그럼요. 충분해요.
4 가: 살이 많이 빠졌네요. 나: 요즘 통 입맛이 없어요.
複習:
鼻音化現象:韻尾ㅂ, ㄷ, ㄱ +ㄴ, ㅁ→ [ㅁ, ㄴ, ㅇ]
반갑네요 월급날 앞니 십만
듣는 잊는 찾는지 윷놀이
국내 생각났어요 작년
鼻音化現象2: 받침(除ㄹ外)+ㄹ→[ㄴ]
1 ㅁ,ㅇ+ㄹ→[ㄴ]
음료수[음뇨수] 정리[정니]대통령[대통녕] 종로[종노]
讀一讀
심리 음력 정리 음료수
1 음료수 한 잔 마실래요?
2 너무 염려하지 마세요.
3 등록금이 오른대.
4 음력 8월15일이 추석이에요.
2 第一步 鼻音化2 ㅂ, ㄱ +ㄹ→[ㄴ] 第二步 鼻音化1 [ㅁ, ㅇ]+[ㄴ]
수업료: 수업+료[뇨]→[수엄뇨]대학로: 대학+로[노]→[대항노]
讀一讀
법률 독립 폭력 확률 국립
1 컵라면 한 개만 주세요.
2 합리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야 돼요.
3 대학로에서 공연이 있어요.
4 나이가 들면 기억력은 나빠지죠.
3 ㄴ+ㄹ→[ㄴ]
생산량[생산냥]정신력[정신녁]
1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의견란에 써 주세요.
2 이기려면 체력과 정신력 둘 다 중요해요.
鼻音化2 綜合練習
1 가: 음력 생일 알아요? 나: 우리나라에서는 음력을 안 써서 몰라요.2 가: 방이 너무 엉망이다.
나: 안 그래도 오늘 정리하려고 했어.
3 가: 배고프다. 컵라면 있어? 나: 여기 컵라면은 종류별로 다 있어. 골라 봐.
複習:
鼻音化現象2: 받침(除外)+ㄹ→[ㄴ]
심리 음력 정리 음료수
법률 독립 폭력 국립
생산량 정신력
'ㄹ'的同化(流音化):ㄴ遇到ㄹ,ㄴ變為ㄹ
1 順方向流音化 ㄹ+ㄴ→ㄹ+[ㄹ]
설날[설랄] 일 년[일련]발 냄새[발램새]
ㄾ, ㅀ+ㄴ→[ㄹ]
핥는[할른] 잃는[일른]
2 逆方向流音化 ㄴ+ㄹ→[ㄹ]+ㄹ
신랑[실랑] 연락[열락]讀一讀
편리 연락 물냉면 생일날
한라산 사물놀이 설날 실내
일 년 몰살 났어요 앓는 잃는
핥는 곤란해요 신랑 원래
1 설날에 고향에 다녀왔어요?
2 물냉면보다 비빔냉면이 좋아요.
3 연락처 좀 적어 주세요.
4 지하철이 버스보다 편리해요.
'ㄹ'的同化綜合練習
1 가: 뭐 먹을래요? 나: 물냉면 먹을래요.2 돈을 내주세요.
3 이 사진 잘 나왔네.
4 내일 숙제를 내면 안돼요?
5 가: 이사하느라 힘들었지요?
나: 네. 그래서 몸살 났어요.
首音法則
韓國語發音有這樣一個特點,即作為單詞首音的ㄹ除了在少數的外來語詞彙仍發ㄹ音外(라디오radia, 라인line),大多數情況下不發音。這個也是韓國語和朝鮮語的區別之一。양심→량심(X) 良心 역사→력사(X) 歷史
여자→녀자(X) 女子 연세→년세(X) 年齡
내일→래일(X) 明天 노인→로인(X) 老人
複習:
'ㄹ'的同化(流音化)
1 順方向流音化 ㄹ+ㄴ-ㄹ+[ㄹ]
설날[설랄] 일 년[일련]
발 냄새[발램새]
2 逆方向流音化 ㄴ+ㄹ-[ㄹ]+ㄹ
신랑[실랑] 연락[열락]
首音法則
양심→량심(X) 良心 역사→력사(X) 歷史
送氣音: 韓語裡有四個送氣音,分別是:ㅋ, ㅌ, ㅍ ,ㅊ .
送氣音化:把平音變成送氣音的現象。
ㄱ, ㄷ, ㅂ, ㅈ→ ㅋ, ㅌ, ㅍ ,ㅊ
1 動詞,形容詞的韻尾 ㅎ+ㄷ, ㅈ, ㄱ→ 合併成 [ㅌ, ㅊ, ㅋ]
싫다고[실타고]많지요[만치요]
이렇게[이러케]
어떻게[어떠케]
讀一讀
노랗던 파랗다 끊도록 많다면
싫다고 않더니 놓지 좋잖아
1 하늘이 정말 파랗다.
2 거기 분위기 좋던데요.
3 며칠 앓더니 살이 좀 빠졌어요.
4 반찬이 없는데 어떻게 하죠?
5 왜 이렇게 늦었어요?
6 끊지 말고 기다리세요.
7 얼른 볼 꺼. 물이 팔팔 끓잖아.
2 ㅂ, ㄼ, ㄷ, ㅈ, ㄵ, ㄱ, ㄺ +ㅎ → [ㅂ, ㄷ, ㅈ, ㄱ] +ㅎ
- 合併成 [ㅍ, ㅌ, ㅊ, ㅋ]입학[이팍] 넓혀요[널펴요]
맏형[마텽] 젖히세요[저치세요]
앉히고[안치고] 축하[추카]
읽혀요[일켜요]
讀一讀
1 일이 잘 안 돼서 답답해요.
2 누가 반장으로 뽑혔어요?
3 아이를 의자에 앉히세요?
4 그 노래가 잊혀지지 않아요.
5 내 친구는 아주 착해요.
3 받침 ㅅ+하다 → [ㄷ]+하다 → [ㅌ]
깨끗하다[깨끄타다]따뜻한데[따뜨탄데]
느긋해[느그태]
讀一讀
1 전 한국말을 잘 못해요.
2 내일은 따뜻하대요.
3 비슷한 이름이 많아서 헷갈려요.
4 다른 사람 탓하지 마세요.
4 받침 ㅄ, ㅍ +하고 →[ㅂ]+하고 → [ㅍ]
값하고[가파고] 옆하고[여파고]5 받침 ㅅ, ㅈ, ㅊ, ㅌ+하고
[ㄷ]+하고[ㅌ]
옷하고[오타고] 빛하고[비타고]
6 받침 ㄲ, ㄳ, ㅋ+하고 → [ㄱ]+하고 → [ㅋ]
몫하고[모카고] 부엌하고[부어카고]送氣音化綜合練習
1 가: 왜 늦었어요?나: 길이 막혀서요.
2 가: 반찬이 없는데 어떡하죠?
나: 밥하고 김치만 있으면 돼요.
3 가: 입학한 지 3개월이 지났어.
나: 벌써 이렇게 됐어? 수고하셨어요.
複習:
送氣音化:把平音變成送氣音的現象。
ㄱ, ㄷ, ㅂ, ㅈ→ ㅋ, ㅌ, ㅍ, ㅊ
노랗던 파랗다 끊도록 많다면
입학 넓혀요
맏형 젖히세요
깨끗하다
따뜻한데
緊音化1(경음화)
경음(緊音, 重音,硬音):韓語裡有5個緊音,分別是ㄲ, ㄸ, ㅃ, ㅆ, ㅉ
경음화(緊音化) :把平音變為緊音的想像。
ㄱ, ㄷ, ㅂ, ㅅ, ㅈ→ㄲ, ㄸ, ㅃ, ㅆ, ㅉ
1 받침소리[ㅂ, ㄷ, ㄱ]+ㅂ, ㄷ, ㅅ, ㅈ, ㄱ→[ㅂ, ㄷ, ㄱ]+[ㅃ , ㄸ, ㅆ, ㅉ, ㄲ]
하숙방[하숙빵] 듣더니[듣떠니]학생[학쌩] 꽃집[꼳찝]
학교[학꾜]
2 겹받침 ㄳ, ㅄ+모음→ [ㄱ, ㅂ]+[ㅆ]
몫이[목씨] 삸이[삭씨]값이[갑씨] 없어요[업써요]
讀一讀
합법 잡동사니 탑승 앞집
없어요 밟고[밥꼬] 몇 번
듣다가 첫사랑 걷자 꽃집
늦게 하숙방 복사기 숙제
직장 학교 읽던[익떤]
1 전 밥보다 빵이 더 좋아요.
2 앞집에 친구가 살아요.
3 탑승구가 어느 쪽이야?
4 의자가 없어요.
5 음악을 듣다가 자요.
6 우리 언니는 첫사랑하고 결혼했어요.
7 어느 학교에 다녀요?
8 새 직장이 마음에 들어요?
讀一讀
1 가: 식당이 어디 있어요?
나: 앞 건물 2층에 있어요.
2 가: 몇 시까지 가면 돼요?
나: 아홉 시까지 가세요.
3 가: 민수 지금 집에 있지요?
나: 아뇨. 좀 전에 전화 받고 나갔어요.
複習:
경음화(緊音化) :把平音變為緊音的想像。平音 +平音→緊音
받침소리 [ㅂ, ㄷ, ㄱ]+ㅂ, ㄷ, ㅅ, ㅈ, ㄱ →[ㅂ, ㄷ, ㄱ]+[ㅃ, ㄸ, ㅆ, ㅉ, ㄲ]
합법 잡동사니 탑승 앞집
없어요 밟고[밥꼬] 몇 번
듣다가 첫사랑 걷자 꽃집
늦게 하숙방 복사기 숙제
緊音化 2 鼻音+平音→緊音
1 받침 ㄴ, ㅁ+ㄷ, ㅈ, ㄱ →ㄴ, ㅁ+[ㄸ, ㅉ, ㄲ]
신다[신따] 신지[신찌] 신고[신꼬]감다[감따] 검지[검찌] 검고[검꼬]
2 받침 ㄵ[ㄴ], ㄻ[ㅁ] + ㄷ, ㅈ, ㄱ →ㄵ, ㄻ + ㄸ, ㅉ, ㄲ
앉다[안따] 앉지[안찌] 앉고[안꼬]닮다[담따] 닮지[담찌] 닮고[담꼬]
讀一讀
신다 신더니 안고 안다
감다 남지 넘다 숨다 참고
삶고 앉고 앉다 옮지 젊다
1 운동화를 신고 오세요.
2 아기를 안고 타세요.
3 시간이 많이 남지요?
4 아프면 참지 말고 병원에 가세요.
5 닮고 싶은 사람이 있어요?
6 아침은 굶지 마세요.
讀一讀 1 가: 오늘은 머리 모양이 다르네요.
나: 바빠서 머리 감고 그냥 나왔어요.
2 가: 신발이 작아서 발이 아프네. 나: 다 왔어. 조금만 참고 가자.
3 가: 일이 많이 남았어요? 나: 아뇨. 얼마 남지 않았어요.
4 가: 요즘 감기가 유행이래요.
나: 으, 옮지 않아야 할 텐데......
複習:
緊音化2 鼻音+平音→緊音 받침 ㄴ, ㅁ+ㄷ, ㅈ, ㄱ →ㄴ, ㅁ+[ㄸ, ㅉ, ㄲ]
신다 신더니 안고 안다
감다 남지 넘다 숨다 참고
삶고 앉고 앉다 옮지 젊다
緊音化3 冠形詞形語尾(으) ㄹ+平音→緊音(으)ㄹ+ㅂ, ㄷ, ㅅ, ㅈ, ㄱ→(으)ㄹ+[ㅃ, ㄸ, ㅆ, ㅉ, ㄲ ]
같이 갈 분[뿐]이 없어요.
갈 데[떼]가 없어요.
어려울 듯[뜻]해요.
먹을 수[쑤] 있어요
빠를 수[쑤]록 좋아요
운전할 줄[쭐] 알아요
할 거[꺼]예요.
讀一讀 커피 드실 분 갈 데가 없어
결혼 할 사람 한 줄 알아
맛있을 거 같다
내일 다시 전화할게.
한 시까지 올 수 있어요?
구경할 데가 참 많아요.
운전할 줄 알아요?
讀一讀
1 가: 이 일 오후까지 다 할 수 있어요?
나: 한번 해볼게요.
2 가: 다리 아프다. 어디 앉을 데가 없을까? 나: 그럼 저기 들어가자.
3 가: 난 좀 늦을 거 같아. 나: 그럼 언제 올 수 있어?
4 가:내일 같이 영화 보러 갈래요? 나: 내일 시간이 될지 안 될지 모르겠어요.
讀下面課文,分辨緊音化現象。
나는 오늘 친구와 같이 식당에 갔다. 그 식당은 신발을 벗고 들어가는 식당이었다.
나는 오늘 양말을 안 신고 와서 좀 창피했다. 그런데 친구도 좀 창피해하는 거 같았
다. 신발을 벗고 같이 올라가는 순간에 그 이유를 알 수 있었다. 친구는 구멍 난 양말을
신고 있었던 것이다.
複習:
緊音化 3 冠形詞語尾(으) ㄹ+平音→緊音 (으)ㄹ+ㅂ, ㄷ, ㅅ, ㅈ, ㄱ →(으)ㄹ+[ㅃ, ㄸ, ㅆ, ㅉ, ㄲ]
커피 드실 분 갈 데가 없어
결혼 할 사람 한 줄 알아
맛있을 거 같다
내일 다시 전화할게.
한 시까지 올 수 있어요?
구경할 데가 참 많아요.
緊音化 4:一些特別的緊音化現象
1 固有詞
1) 有些固有詞在和別的詞構成合成詞的時候,都會變為緊音。________가게[까게] 반찬가게, 쌀가게
________등[뜽] 발등, 손등
________바닥[빠닥] 땅바닥, 방바닥
1 ___가 강가, 길가, 눈가
2 ___가게 반찬가게, 쌀가게
3 ___가락 발가락 손가락
4 ___가루 눈가루 밀가루 쌀가루
5 ___감 대통령감 신랑감 장군감 장난감
6 ___값 껌값 술값 쌀값
7 ___거리 걱정거리 고민거리 근심거리
8 ___국 된장국 콩국 콩나물국 해장국
9 ___길 눈길 밤길 산길 자름길
10 ___살 눈살 주름살
11 ___짓 눈짓 몸짓 손짓
12 ___등 발등 손등
13 ____바닥 땅바닥 발바닥 방바닥 손바닥
2) 固有詞和別的詞構成合成詞時,有時會變成緊音,有時則不會。
물고기[물꼬기] 소고기[소고기]
용돈[용똔] 잔돈[잔돈]
비빔밥[비빔빱] 볶음밥[보끔밥]
1 물고기 돼지고기 불고기 소고기 緊音化
2 보름달 초승달 緊音化 반달
3 거스름돈 용돈 緊音化 잔돈
4 한 달 동안 일 년 동안 緊音化 기다리는 동안 먹는 동안
5 김밥 비빔밥 아침밥 緊音化 볶음밥
6 빵집 술집 緊音化 기와집 초가집
2 漢字詞
1) 某些漢字詞和其他漢字詞構成合成詞時,總是會變成緊音。____과[꽈]科 기계과 내과
____권[꿘]券 여권 입장권
____장[짱]張 상장 초대장
緊音化
1 ___가價 물가 유가 주가 할인가
2 ___과科 기계과 내과 문과 산부인과
3 ___권券 승차권 여권 입장권 항공권
4 ___장狀 상장 소개장 임명장 초대장
5 ___증症 궁금증 불면증 싫증 우울증
6 ___방학放學겨울방학여름방학2)ㄹ+ㄷ, ㅅ, ㅈ→ㄹ+[ㄸ, ㅆ, ㅉ](緊音化) ㄹ+ㅂ, ㄱ→ㄹ+[ㅂ, ㄱ](不發生緊音化)
발달[발딸] 발생[발쌩] 발전[발쩐]
발병[발병] 발견[발견]
실수[실쑤] 실종[실쫑]
실기[실기]
1 발(發)___ 발달 발생 발전 緊音化 발병 발견
2 출(出)___ 출동 출신 출장 緊音化 출발 출국
3 열(熱)___ 열대 열심 열정 緊音化 열병 열기
3) 漢字詞和別的詞構成合成詞時,有時發生緊音化,有時不發生。
사용법[사용뻡] 방법[방법]
학생증[학생쯩] 영수증[영수증]
1 ___법(法) 문법 사용법 요리법 방법
2 ___병(病) 눈병 상사병 전염병 정신병 발병 질병
3 ___병(瓶) 맥주병 소주병 양주병 유리병 화병
4 ___성(性)가능성 인간성 전통성 개성 남성 여성
5 ___증(證)면허증 수료증 신분증 영수증
複習:
緊音化 4:一些特別的緊音化現象
1 固有詞
________가게[까게] 반찬가게, 쌀가게
________바닥[빠닥] 땅바닥, 방바닥
물고기[물꼬기] 소고기[소고기]
2 漢字詞
____과[꽈]科 기계과 내과
____권[꿘]券 여권 입장권
발(發)___ 발달 발생 발전 緊音化 발병 발견
'ㄴ' 的添加規則: 韻尾+이, 야, 여, 요, 유, 얘, 예 時,在中間追加一個'ㄴ'。
1) 鼻音ㅁ, ㄴ, ㅇ+이, 야, 여, 요, 유, 얘, 예 時,在中間追加一個'ㄴ'。
발음 연습[바름년습] 신혼여행[신혼녀행]
공공요금[공공뇨금]
讀一讀
여드름 약 강남 역
무슨 일 웬일 안 열어요
지난 여름 두통약
배낭여행 식용유
1 무슨 일 있어요?
2 유럽으로 배낭여행 갔어요.
3 발음 연습을 해야 해요.
2) ㅂ, ㅍ +이, 야, 여, 요, 유, 얘, 예 時,在中間追加一個'ㄴ'。然後ㅂ,ㅍ→ㅁ。
졸업 여행[조럽녀행]→[조럼녀행]
앞일 [압닐]→[암닐]
讀一讀
집 열쇠 초급 영어 이십육
1 이 아파트 십육 층에 살아요.
2 일곱 여덟, 아홉 열.
3 집 열쇠를 잃어버렸어요.
3) ㅅ, ㅈ, ㅊ, ㅌ + 이, 야, 여, 요, 유, 얘, 예 時,在中間追加一個'ㄴ'。然後ㅅ, ㅈ, ㅊ, ㅌ →[ㄴ].
나뭇잎[나묻닙]→[나문닙]
讀一讀
깻잎 옛일 늦여름
꽃잎 밭일
못 이겨요
못 일어나요
못 잊어요
못 읽어요
못 열어요
옷 입어
讀一讀
1 나뭇잎이 떨어졌어요.
2 깻잎 좀 사오세요.
3 이 꽃은 꽃잎이 참 예쁘네요.
4 아직도 신문은 못 읽어요.
複習: 'ㄴ' 的添加 1
1) 鼻音ㅁ, ㄴ, ㅇ+이, 야, 여, 요, 유, 얘, 예 時,在中間追加一個'ㄴ'。
발음 연습[바름년습] 신혼여행[신혼녀행]
2) ㅂ, ㅍ +이, 야, 여, 요, 유, 얘, 예 時,在中間 追加一個'ㄴ'。然後ㅂ,ㅍ→ㅁ。
졸업 여행[조럽녀행]→[조럼녀행]
3) ㅅ, ㅈ, ㅊ, ㅌ + 이, 야, 여, 요, 유, 얘, 예 時,在中間追加一個'ㄴ'。然後ㅅ, ㅈ, ㅊ, ㅌ →[ㄴ].
나뭇잎[나묻닙]→[나문닙]
'ㄴ' 的添加 2
4) ㄱ, ㅋ +이, 야, 여, 요, 유, 얘, 예 時,在中間追加一個'ㄴ'。然後ㄱ,ㅋ→[ㅇ].
색연필: 색+연필[년필]→[생년필]
부엌일: 부엌[부억]+일[일]
讀一讀
소독약 저녁 약속 어학연수 한국영화
1 한국영화 자주 봐?
2 소독약을 바르세요.
3 저녁 약속 없으면 같이 할까요?
5)ㄹ+ +이, 야, 여, 요, 유, 얘, 예 時,在中間追加一個'ㄴ'。然後ㄹ→ㄹ
주말 여행→주말+여행[녀행]→[주말려행]
올여름→올+여름[녀름]+[올려름]
讀一讀
별일 알약 주말여행 서울역
할 일 휘발유 한달 용돈
1 별일 아니에요.
2 알약을 못 먹으니까 물약으로 주세요.
3 할 일 너무 많아요.
4 사흘 연속 결근했어요.
'ㄴ' 的添加綜合練習
1 가: 내일 무슨 영화 볼까?
나: 글쎄, 한국 영화 재미있는 거 있어?
2 가: 좀 도와주세요. 혼자서는 못 열겠어요.
나: 네. 제가 열어 볼게요.
3 가: 무슨 연습을 그렇게 열심히 해요? 나: 발음 연습을 하는 중이에요.
4 가: 두통약 좀 주세요. 나: 알약으로 드릴까요?
複習: 'ㄴ' 的添加2
4) ㄱ, ㅋ +이, 야, 여, 요, 유, 얘, 예 時,在中間追加一個'ㄴ'。然後ㄱ,ㅋ→[ㅇ].
색연필: 색+연필[년필]→[생년필]
5)ㄹ+ +이, 야, 여, 요, 유, 얘, 예 時,在
中間追加一個'ㄴ'。然後ㄹ→ㄹ
주말 여행→주말+여행[녀행]→[주말려행]
添加ㅅ:在部分合成詞裡,當前一個語素的最後音節為母音時,在詞中間添加ㅅ音。後一個音節從平音變成緊音。
規則
1)必須是 名詞+名詞(固有詞+固有詞,漢字詞+漢字詞, 固有詞+漢字詞)
2)前一個名詞的最後一個音節必須是母音,沒有韻尾。
나무+가지 나뭇가지 [나묻까지]
해+빛 햇빛 [핻삧]
수+자 숫자 [숟짜]
3) 後面名詞的首音為ㄱ, ㄷ, ㅂ, ㅅ, ㅈ→ㄲ, ㄸ,ㅃ, ㅆ, ㅉ
코+구멍→콧구멍[콛꾸멍] 고유어+고유어
등교+길→등굣길[등굗낄] 한자어+고유어
위+방→윗방[윋빵] 고유어+한자어
내+가→냇가[낻까]
기+발→깃발[긷빨]
배+속→뱃속[밷쏙]
4) 第二個名詞是'이'開始時,要添加一個'ㄴ'
나무+잎→나뭇잎[나문닙]
뒤+일→뒷일[뒨닐]
깨+잎→깻잎[깯닙]
5) 後一個名詞是以 ㄴ,ㅁ開頭時,ㅅ→ㄴ.
존대+말→존댓말[존댄말]
혼자+말→혼잣말[혼잔말]
讀一讀
찬란한 아침 햇빛.
손윗사람한테는 반말을 쓰지 말고 존댓말을 쓰도록 해라.
숫자도 중요하지만 품질을 더 중요시해야한다.
韓語發音變化綜合朗讀練習
演講稿 연설
안녕하세요, 여러분. 저는 이번에[이버네] 언어교육원을[어너교유권] 졸업하는[조러파는]
6급 학생 왕리라고 합니다. 제가 이런 자리에서 6급 학생을[육끄팍쌩] 대표하여 언어교육
원 선생님들께 감사의 말을[마를] 전하게 되어[저나게되어] 매우 영광스럽게[영광스럽께]
생각합니다[생가캄니다].
저는 한국에 오기 전에 한국어를 한마디도 할 줄 몰랐습니다[할쭐몰랃씀니다]. 처음
기역 니은을[기영니으늘] 그림 그리듯이[드시] 하면서 배우기 시작한 것이[시자칸거시]
엊그제 같은데[얻끄제가튼데] 벌써 1년 6개월이[일련뉵깨워리] 지났습니다[지
낟씀니다]. 1년6개월 동안[일련뉵깨월똥안] 한국에 살면서 힘든 일도[힘든닐도] 많았고[마낟꼬]
외로움에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도 많이 있었습니다. 그럴 때마다
'힘내'라고 말해 주는 친구들이 옆에 있어서[여페 이써서] 다시 기운을 차려서 공부
를 할 수 있었습니다. 이제 저희는 6급을 졸업하고[조러파고] 각자[각짜] 자기가 생각한[생가칸] 길로 나아
갑니다. 다시 자기 나라로 돌아가서 취직하는[취지카는] 친구들도 있고 계속 한국
에 남아서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여[지나카여] 공부를 계속하는[계소카는] 친구
들도 있습니다. 다시 한 번 선생님들과 친구들에게 진심으로[진시므로]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면서
졸업 인사를[조러빈사를] 마치고자 합니다.
감사합니다.
韓國語音變教程
到此結束
謝謝收看
수고하셨어요.
資料來源:韓國留學通網 韓國語音變教程
沒有留言:
張貼留言